크롬박스(Chrome box)에 헤놀로지(Xpenology) 설치 – 외장 하드디스크를 내장 하드 드라이브로 인식시켜 볼륨 생성하기: synoinfo.conf 변경하기

크롬박스(Chrome box)에 헤놀로지(Xpenology)를 설치하고 나서 바로 해야 될 일은 파일을 저장할 별도의 드라이브를 연결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크롬박스는 내부에 하드디스크를 장착할 별도의 슬롯이 없기 때문에 외장 하드디스크를 연결하는 방법 외에는 대안이 없습니다.

헤놀로지(Xpenology)의 정식 버전인 시놀로지(Synology)는 일반적인 나스(Nas) 내부에 별도의 하드디스크 슬롯이 존재하고, 이곳에 하드디스크를 꽂아서 사용하는 환경에 설정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또한 나스 외부에 USB 단자가 있어 외장 하드디스크를 추가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Difference of internal drive and external drive in Xpenology system
Difference of internal drive and external drive in Xpenology system

헤놀로지에서 내부의 별도 슬롯에 하드디스크를 연결하는 것과 외부 USB에 하드디스크를 연결하는 것의 가장 큰 차이는 볼륨을 생성할 수 있냐 없냐의 차이로 나타납니다.

볼륨은 헤놀로지 시스템 및 헤놀리지 애플리케이션의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특별한 저장소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윈도우 시스템이 USB 메모리를 연결하여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된 USB 메모리에 윈도우나 윈도우 업데이트 등을 설치할 수 없는 것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Internal drive only shows the volume in Xpenology
Internal drive only shows the volume in Xpenology

외장 하드디스크를 USB 장치로 인식시켜 사용하는 것은 단순히 파일을 저장하고, 저장된 파일을 공유하고 하는 것에서 문제가 되진 않습니다. 하지만 USB 장치로 인식된 드라이브는 플렉스(Plex)나 비디오 스테이션(Video station)과 같은 기타 내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저장 공간으로 할당할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해, 시스템 파일이나 내부 애플리케이션을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선 내장 하드 드라이브의 볼륨 영역이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이번 콘텐츠는 헤놀로지에서 외장 하드 드라이브를 내장 하드 드라이브로 인식시키고, 여기에 볼륨을 생성하는 과정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1. 첫번째 방법

이전 포스팅에서 해놀로지 부트로더를 설정하면서 grub.cfg 파일을 수정하였습니다. 이 값 중 sataportmap은 내부 슬롯에 연결된 드라이브 숫자를 의미합니다. 크롬 박스 내부에 SSD로 연결된 드라이브와 외장 하드디스크를 내장 하드 드라이브처럼 인식시켜줄 것이기 때문에 이 숫자를 2로 변경해주고 부트로더를 다시 생성합니다. 이후 USB를 연결해서 재설치 또는 강제 설치 옵션으로 설치를 다시 진행합니다.

재설치 및 강제 설치를 진행하는 방법은 부트로더가 실행되면서 검정색 부트로더 화면이 출력될 때, 화면이 넘어가기 전 잘 보면 재설치 또는 강제 설치 옵션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두번째 방법

저는 위의 첫번째 방법과 이 두번째 방법을 동시에 진행을 해서 어떤 방법으로 설정이 성공한 것인지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첫번째 방법을 먼저 시도해보고 실패할 경우 두 번째 방법을 진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첫번째 방법으로 성공하지 못한다면 첫번째 방법과 두번째 방법의 조합으로 성공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하며, 두번째 방법만으로도 성공할 수 있는지는 다시 첫번째 방법을 원래대로 복구하고 테스트를 해봐야 하는데, 굳이 작동에 문제가 없어 그냥 그대로 두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두번째 방법은 아래 보시는 것과 같이 첫번째 방법보다는 다소 조금 복잡하게 진행을 해야 합니다.

2.1. 헤놀로지 SSH 설정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헤놀로지의 SSH 설정을 On합니다. (SSH 설정은 헤놀로지 제어판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설정하면 됩니다. 포트번호는 굳이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

SSH settings in Xpenology
SSH settings in Xpenology

2.2. 윈도우 PC에서 SSH 접속

별도의 윈도우 PC에서 명령 프롬프트(cmd)를 실행하여 SSH를 통해 헤놀로지로 접속합니다. 세부 접속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SSH 접속은 헤놀로지의 시스템 파일에 원격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식이며, 별도의 PC에서 진행합니다.

  • 윈도우에서 명령 프롬프트(cmd)를 실행하고,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위에서 헤놀로지 SSH 설정 시, 포트번호를 별도로 설정했다면 해당 포트번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ssh 헤놀로지사용자ID@해놀로지내부IP -p 포트번호 (예: ssh admin@192.168.0.50 -p 22)
  •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고 나면 패스워드 입력을 요청하며, 헤놀로지사용자ID의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엔터(Enter) 키를 입력합니다.

2.2.1. etc 폴더 내의 synoinfo.conf 파일 수정하기

  • 이후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vi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vi 편집기는 시스템 파일을 도스창에서 편집할 수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입니다. vi 편집기를 통해 아래 몇 개의 파일의 세부 값을 수정할 것입니다.
vi /etc/synoinfo.conf

위에서 vi 명령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으면,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그러면 패스워드 입력을 다시 요청하게 되는데, 위에서 관리자로 등록된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됩니다. 이후 vi 명령을 다시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될 겁니다.

sudo su -
  • vi 편집기가 실행된 상태에서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 synoinfo.conf 파일의 수정할 값의 위치로 이동합니다.
/usbportcfg

커서를 이동한 후에 i를 입력하면 편집모드로 전환이 되며, 이때부터 값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편집모드로 전환을 하려면 i를 입력하면 되고, 다시 보기 모드로 빠져나오려면 [ESC]키를 입력하면 됩니다. 기존에 입력된 값은 혹시라도 나중에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장 같은 곳에 별도로 저장을 해두고, 해당 값을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이 값은 연결한 외장 USB 하드디스크가 1개일 때만 해당되며, 2개 이상의 여러 개를 연결한 경우 별도의 값을 입력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일단 1개인 경우만 가정하여 설명하겠습니다.)

0x200000
  • vi 편집기가 실행된 상태에서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 synoinfo.cong 파일의 수정할 값의 위치로 이동합니다.
/internalportcfg

위에서 값을 수정한 것과 마찬가지로 i를 입력하여 값을 편집하고, [ESC]키를 통해 편집모드로부터 빠져나옵니다. 수정할 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 값 역시 외장 USB 하드디스크가 1개일 때만 해당되며, 2개 이상의 여러 개를 연결한 경우 별도의 값이 필요합니다.

0x100fff
  • wq를 입력한 후 [Enter]키를 통해 synoinfo.conf 파일의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vi 편집기를 빠져나갑니다. 참고로 w를 입력한 후 [Enter]키를 실행하면 변경사항을 저장하지만 vi 편집기를 빠져나가지는 않습니다.

2.2.2. etc.defaults 폴더 내의 synoinfo.conf 파일 수정하기

파일을 수정하는 방식은 위의 내용과 동일하게 진행하면 됩니다.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vi 편집기를 실행하고,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값을 찾아 동일하게 진행하면 됩니다.

vi /etc.defaults/synoinfo.conf

2.2.3. SSH 접속 종료 및 헤놀로지 재부팅

위와 같이 값을 변경하고, exit을 입력 후, [Enter]키를 반복적으로 입력하면 SSH 접속이 종료되고 헤놀로지가 재부팅 됩니다.

3. 세번째 방법

위의 두번째 방법으로 설정하는 것에 실패한 경우, 두번째 방법과 유사하지만 변경하는 값을 달리하여 실행해 봅니다. 단, 이때 두번째 방법에서 변경한 값들은 원래 있던 값으로 원상복구 한 후에, 아래의 값을 변경해줍니다.

변경해야 될 값은 아래와 같으며, 수정할 파일은 /etc/synoinfo.conf와 /etc.defaults/synoinfo.conf로 동일합니다. vi 편집기를 실행하여 두개의 파일 위치에서 아래의 값들을 변경해줍니다. 마찬가지로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변경 전 값은 반드시 별도로 저장해둡니다.

maxdisks="24"
usbportcfg="0xc00000"
esataportcfg="0x0"
internalportcfg="0x3fffff"

4. 헤놀로지에서 볼륨 생성하기

위의 방법대로 진행해서 외장 USB 하드디스크를 USB 장치가 아닌 내장 하드 디스크로 인식하는 것에 성공했다면 헤놀로지 저장소 관리자에서 해당 디스크가 볼륨을 생성할 수 있는 디스크로 인식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볼륨생성 진행은 헤놀로지에서 각 절처에 따라 안내를 따라 진행하면 됩니다. Raid group 속성은 Basic으로 설정하고, 볼륨 생성 시, 파일시스템은 ext4로 설정하여 진행하면 됩니다.

여기까지 잘 진행을 했다면 90% 이상 설정이 모두 잘 마무리 된 것입니다. 나머지는 각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하나씩 설정하는 것만 남았습니다.

저는 헤놀로지에 Plex 서버를 설치하여 헤놀로지를 미디어 서버로 활용하는 게 주 목적이었습니다. 다음 콘텐츠는 Plex 서버 설정과 관련하여 문제가 됐던 내용을 공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1. /etc/synoinfo.conf 파일과 /etc.defaults/synoinfo.conf 파일의 값들을 아래와 같이 변경하면 internal, esata, usb 드라이브를 모두 인식시킬 수 있음

    usbportcfg=”0x00″
    esataportcfg=”0x00″
    internalportcfg=”0xffffff”
    maxdisks=”24″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인기 게시글

[오류해결] KMS 인증(Activation) 오류(error) 0xC004F017 문제 원인 및 해결 방법

[오류해결] 카카오톡 PC 버전 접속 오류(일시적인 장애이거나 네트워크 문제일 수 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이용해 주세요. 오류코드 70101, 11002, LL)와 다음(daum.net), 티스토리(tistory.com) 접속 오류(오류코드 DNS_PROBE_FINISHED_NXDOMAIN)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