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롬박스(Chrome box)에 헤놀로지(Xpenology), 윈도우 10(Windows 10) 설치하는 방법 (1)

오늘 소개할 내용은 크롬박스(Chrome box)에 헤놀로지(Xpenology)를 네이티브로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같은 방식으로 윈도우 10도 설치가 가능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헤놀로지는 가상머신에 올려서 설치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크롬 박스가 16G로 SSD 저장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뿐더러 CPU나 메모리 성능이 저사양인것을 고려하면 네이티브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입니다.

0. 개념 이해

네이티브 설치방식은 말 그대로 크롬박스에 윈도우나 리눅스 같은 별도의 OS없이 바로 헤놀로지를 OS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헤놀로지 OS는 이때 개념을 조금 달리 이해해야 되는 부분이 있는데, 흔히 윈도우나 리눅스는 OS 부팅을 위한 부팅 파일 영역과 설치된 OS 파일 영역이 모두 SSD 공간에 저장하는 것과 달리 OS 부팅을 위한 파일 영역은 별도의 USB에 두고, OS 파일 영역만 SSD에 두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게 무슨 뜻이냐하면 윈도우나 리눅스는 처음에 설치시에만 설치용 USB 드라이브가 필요하고 설치가 완료되고 나면 별도의 USB 드라이브가 필요가 없는 반면, 헤놀로지는 OS가 다 설치되고 나서도 부팅을 위한 USB 드라이브가 항상 꽂혀 있어야 된다는 뜻입니다.

이 부분은 헤놀로지의 정품 제품인 시놀로지의 하드웨어 규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부팅 영역이 별도의 Rom 영역에 별도로 분리 저장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일부 사례에서 SSD 영역에 부팅 파일 영역을 강제로 설정해서 USB 드라이브가 없이도 설정한 사례가 있긴한데, 이 부분은 본 내용에서 제외하고 넘어가겠습니다.

0. 준비물

크롬박스는 대부분 2GB 또는 4GB 램을 장착하고 있고, 16GB 하드디스크(SSD)를 포함하는 사양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제품마다 편차는 있겠으나 헤놀로지를 네이티브로 설치는 해당 사양으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10을 설치하기 위한 최소 저장공간이 32GB이기 때문에 네이티브 방식이 아니라 가상머신에서 헤놀로지를 구동하려면 하드디스크 교체를 해야합니다.

USB 드라이브는 헤놀로지 OS 부팅을 위해 항상 크롬박스와 연결이 되어있어야 하는데, 부팅 영역이 50MB 정도밖에 되지 않고, USB 버전에 따라 성능 영향도 없기 때문에 아무 USB 드라이브나 상관없다고 보면 됩니다.

  • 크롬박스
  • USB 드라이브 (USB 2.0 드라이브도 상관없고, 50MB 이상이면 충분)

1. 사전 준비

헤놀로지를 설치하기 전에 가장 먼저해야 되는 것은 크롬박스 본체를 열어 쓰기 방지 나사(Write protect screw)를 물리적으로 제거해야 합니다. 쓰기 방지 나사가 제거되지 않은 경우 크롬박스의 SSD에 파일 쓰기를 할 수 없기 때문에 헤놀로지 OS 설치를 할 수 없습니다.

쓰기 방지 나사의 위치는 각 제품마다 차이가 있으나 메인보드 가장 자리에 아래 그림과 같이 반원 형태로 나사가 조여진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이런 모양을 참고로 하여 찾아보시거나 구글을 통해 먼저 쓰기 방지 나사 위치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Write protect screw in chrome devices

2. 시작

2.1. 크롬 OS 개발자 모드 활성화

준비가 끝났으면 크롬박스에 설정되어 있는 크롬OS의 개발자 모드를 활성화해야 합니다. 개발자 모드를 활성화 하는 이유는 크롬박스에 설치된 BIOS는 다른 OS 설치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윈도우를 설치하는 것처럼 단순히 다른 OS 설치용 USB를 만들어서 USB 포트에 꼽는다고 해당 USB가 인식되지 않습니다. 이를 위해 개발자모드의 터미널(Terminal)로 특정 스크립트를 실행해 BIOS를 변경해야 합니다.

크롬 OS의 개발자 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리셋(Reset) 버튼 누른 상태에서 전원(Power) 버튼 누름
  • 몇 초 뒤 리셋(Reset) 버튼에서 손을 뗌
Screen of the recovery mode

위와 같은 화면이 출력되면 리커버리 모드(Recovery mode)가 실행된 것입니다. 이 화면에서 Ctrl키와 D키를 함께 누릅니다.

Screen of the developer mode 1

이후 다시 부팅이 되고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을 하는데, 다시 한번 Ctrl키와 D키를 함께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출력됩니다.

위 화면에서 Enter키를 누르면 개발자 모드로 변경이 시작되고, 크롬박스가 개발자 모드를 활성화합니다.

Screen of the developer mode 2
Screen of the developer mode 3

정상적으로 개발자 모드가 설정되면 부팅 시, 비프음과 함께 아래와 같은 화면이 출력됩니다. (OS verification is off 메시지를 본다면 정상적으로 개발자 모드가 설정된 것입니다.)

Success of the developer mode entering

2.1.1. 개발자 모드 설정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대처법

위의 과정을 통해 개발자 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디바이스에 따라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면서, 개발자 모드 진입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developer mode is disabled on this device by system policy

이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전원 케이블을 본체로부터 분리한 다음 본체에 내장된 배터리(메인보드의 수은 배터리)를 분리합니다. 

전원 케이블과 배터리가 분리된 상태에서 디바이스의 전원 버튼을 30초 이상 눌러줍니다. (이 과정에서 관리자 계정을 건너뛰는 동작이 시스템 내부적으로 진행이 됩니다.)

이후 전원 케이블과 배터리를 다시 넣고 리커버리 모드로 진입을 시도합니다. 리커버리 모드 진입 시도는 위의 과정을 참고합니다. 

리커버리 모드에 정상적으로 진입했다면 개발자 모드 진입을 시도해봅니다. 이제는 더 이상 위의 developer mode is disabled on this device by system policy 메시지 없이 정상적으로 개발자 모드 진입이 가능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2. WiFi 연결 설정

개발자 모드를 활성화하고 나면 크롬박스가 초기화되면서 여러가지 환경설정을 하게 됩니다. 이때 WiFi 연결을 설정(본인의 WiFi를 선택하고, 패스워드 입력)하는 단계까지만 설정하고 그대로 둡니다.

WiFi 연결 설정 단계까지만 진행하는 이유는 이후 BIOS 설치를 위해 터미널을 통해 스크립트 명령을 실행하게 되는데, 이때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2.3. 터미널 실행

터미널 실행 과정에서 로그인을 요청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root와 test0000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참고합니다. 별도의 비밀번호를 생성했다면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되고, 공백으로 비밀번호를 생성했다면 .(마침표)로 설정됩니다.

2.3.1. BIOS를 업데이트하기 전 WOL 설정하기

크롬박스에 설치된 BIOS를 터미널에서 변경하기 전에 WOL(Wake on lan) 설정을 활성화 시켜줍니다. 혹시라도 나중에 WOL을 통해서 박스를 켜고 끄기 위해서 크롬박스의 정식 OS인 크롬 OS 터미널을 실행할 수 있을 때 미리 해당 설정을 켜두는 게 좋습니다. WOL 설정이 필요없다면 해당 단계는 건너뛰고 넘어가도 상관없습니다.

위에서 WiFi 연결 설정까지 완료하고 나면 터미널을 실행합니다. 크롬박스에서 터미널을 실행하는 방법은 Ctrl키Alt키T키로 진입합니다.

터미널이 실행되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키를 입력합니다.

set_wake_on_lan

WOL 설정이 끝나고 나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키를 눌러 터미널을 종료합니다.

exit

2.3.2. 크롬박스 맥 어드레스 확인하기

터미널을 실행하고,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키를 입력합니다.

network_diag --dhcp

크롬박스의 내부 IP 주소와 맥 어드레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 헤놀로지 세팅을 위해 이 맥 어드레스가 필요하니 해당 맥 어드레스를 잘 저장해두기 바랍니다.

2.3.3. BIOS 업데이트 하기

위에서 WiFi 연결 설정까지 완료하고 나면 터미널을 실행합니다. 크롬박스에서 터미널을 실행하는 방법은 Ctrl키Alt키F2키를 눌러주면 됩니다. 경우에 따라 Ctrl키Alt키T키로 진입할수도 있습니다.

이후 검정색 화면에 Developer console 창이 열리면 localhost login: 에 값을 입력하라고 대기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에 아래 내용(chronos)을 입력하고 Enter키를 누릅니다.

chronos

이후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키를 누릅니다. (하이픈 다음에 나오는 문자는 대문자 O입니다.) 참고로 해당 리파지토리(Repository)는 담당자에 의해서 주소가 변경되거나 만료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방법으로 실행이 안되면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합니다. (2021년 9월 기준 정상작동하는 것 확인)

curl -L -O https://mrchromebox.tech/setup-kodi.sh && sudo bash setup-kodi.sh
cd; curl -LO mrchromebox.tech/firmware-util.sh && sudo bash firmware-util.sh

명령어가 2024년 4월 21자로 위와 같이 바뀌었으며, 메뉴 선택 항목은 2) Install/Update UEFI (Full ROM) Firmware를 선택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위 명령어를 입력하고 기다리면 아래와 같이 Chromebox Kodi e-z setup script 화면이 출력됩니다.

Chromebox Kodi e-z setup script

경우에 따라서 위 화면이 출력 안되면 위의 curl 명령을 다시 실행합니다. (띄어쓰기에 유의해서 curl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다른 OS를 USB로 설치하기 위한 옵션은 위 화면에서 6번(Install/Update: Custom UEFI Firmware)입니다.

숫자 6키을 누르면, 화면이 바뀌고 Do you wish to continue? (y/n)라는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y를 누르고 Enter키를 누릅니다.

그럼 다시 Press Y to continue or any other key to abort. 메시지가 출력되는데, y를 누르고 Enter키를 누릅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Create a backup copy of your stock firmware?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나중에 혹시라도 다시 원래의 크롬 OS로 복원을 하기 위해서 크롬 OS 펌웨어를 백업하는 과정입니다.

별도의 USB를 삽입하고 백업을 진행하여 기존 크롬 OS 펌웨어를 저장해두면 됩니다. 물론 저는 다시 원래 크롬 OS로 돌아갈 일이 없을거기 때문에 n을 누르고 Enter키를 눌러 진행했습니다. (다수의 유저들이 기존 크롬 OS 백업이 잘 안된다는 의견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Downloading Full ROM firmware 메시지와 함께 새로운 BIOS가 다운로드가 진행됩니다. 그대로 크롬박스를 켜두고 기다리면 됩니다.

BIOS 다운로드가 끝나면 Full ROM firmware successfully installed/updated.라는 메시지와 함께 Press [Enter] to return to the main menu.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Enter키를 눌러서 메인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메인 화면에서 p를 입력하고 Enter키를 누르면 크롬박스가 재부팅 됩니다.

Ubuntu rabbit/bunny bios

부팅이 되고 BIOS가 정상적으로 변경되면 위와 같은 토끼(Rabbit/Bunny) 모양의 BIOS가 실행됩니다. ESC키를 눌러 BIOS 세부 설정에서 설치하고자 하는 OS의 USB를 선택하고 원하는 OS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헤놀로지(Xpenology)나 윈도우 10도 설치가 가능하며, 원하는 OS에 맞게 각자 선택하여 진행하면 됩니다. 단, 윈도우 1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16GB의 SSD로는 용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최소 32GB의 SSD를 준비하셔서 기존의 SSD를 교체한 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시간엔 헤놀로지(Xpenology) 부팅 USB를 만드는 법과 DSM 설치방법을 이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또 뵙겠습니다.

댓글

인기 게시글

[오류해결] KMS 인증(Activation) 오류(error) 0xC004F017 문제 원인 및 해결 방법

[오류해결] 카카오톡 PC 버전 접속 오류(일시적인 장애이거나 네트워크 문제일 수 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이용해 주세요. 오류코드 70101, 11002, LL)와 다음(daum.net), 티스토리(tistory.com) 접속 오류(오류코드 DNS_PROBE_FINISHED_NXDOMAIN) 문제